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Q. 여랑야랑, 정치부 김민지 기자와 함께 합니다. 첫 번째 주제 보겠습니다. 전현직 대통령들이 나왔는데요. 너도나도 뭡니까?<br> <br>'뒤통수'를 맞았다는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. <br> <br>먼저 민주당은, 대일 외교에서 윤 대통령이 일본에 뒤통수를 맞았다고 했습니다. <br><br>[이재명 / 더불어민주당 대표 (오늘)]<br>"일본이 전쟁범죄를 부정하는 내용의 초등 교과서를 승인했습니다. 굴욕적인 퍼주기 외교가 / 간도 쓸개도 다 내주고 뒤통수까지 맞고 있는 격입니다."<br><br>민주당은 "대일 굴욕 외교 대가가 대국민 치욕으로 돌아왔다"며 국정조사를 요구하고 나섰습니다. <br><br>Q. 국정조사는 뭘 하겠다는 거죠?<br> <br>네. 정부의 제3자 변제안 과정을 들여다 보고 윤 대통령이 방일 일정 중 어떤 얘기를 했는지 등 철저히 조사하자는 건데요. <br><br>국민의힘은 "당 대표의 사법 리스크에 쏠릴 국민 시선을 죽창가로 돌리려는 의도"라면서 뒤통수를 맞은 건, 문재인 정부라고 반격했습니다. <br><br>Q. 문재인 정부가 누구에게 뒤통수를 맞았다는 거죠?<br> <br>북한인데요. <br><br>국민의힘은 지난 2019년 북한이 민주노총 당시 조직국장에게 '청와대 송전망 체계' 마비를 위한 지령을 내렸다는 보도를 언급하면서, 이 시점이 2018년 남북정상회담 이후 불과 9개월만이라는 점을 주목했습니다. <br><br>[강민국 / 국민의힘 수석대변인 (오늘,여랑야랑 인터뷰)]<br>"문재인 정권이 국제사회의 김정은 수석대변인 역할을 하는 사이 국내 간첩단은 방치를 넘어 활개를 쳤습니다. 민주당은 문재인 정권이 북한의 가짜 평화쇼에 뒤통수 맞는 사이 국내에 간첩 활동이 활개한 것이 부끄럽지도 않습니까" <br><br>Q. 다음 주제 보겠습니다. 하영제 의원 내일 운명의 날이죠?<br> <br>네.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국민의힘 하영제 의원에 대한 체포동의안 표결이 내일 국회 본회의에서 진행되죠. <br><br>그런데 오히려 친정인 국민의힘에서 더 가결에 힘을 쏟고 있고 민주당은 가결이 부담스럽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. <br><br>[이상민 / 더불어민주당 의원 (그제, YTN 라디오 '뉴스 정면승부')]<br>"국민의힘의 상대 당 의원이지만 그것(체포동의안)을 부결시키자니 국민들 시선이 두렵고, 또 가결시키자니 형평이 맞지 않고, 내로남불이고 위선적이라는 비난을 받게 될 것이니 난감하다고 생각됩니다." <br><br>Q. 이 대표 체포동의안을 부결시킨 민주당 입장에선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이네요?<br> <br>네, 이 대표와 다르게 가결시키기도, 동료의원이라고 '또 부결'시키기도, 이래저래 눈치가 보인다는 건데요. <br><br>민주당은 내일 본회의 전 의총을 열어 논의하겠단 입장이지만, 기본적으로는 의원들 '자율'에 맡기겠단 입장입니다. <br> <br>반면, 국민의힘의 방향은 꽤 선명한데요. <br><br>[유상범 / 국민의힘 수석대변인 (어제, MBC 라디오 '김종배의 시선집중')]<br>"당론 자체는 결정이 안 됐는데 이미 저희 50여 분의 의원님들께서 불체포특권 포기를 선언하셨고 원내대표가 말씀하셨듯이 사실상의 당론이다 이렇게 말씀하셔서 저도 뜻이 다르지 않습니다." <br><br>Q. 같은 당 의원이라고 감싸주진 않는 모습이에요.<br> <br>사법리스크를 겪는 이재명 민주당 대표를 압박하기 위한 것이라는 해석입니다. <br><br>국민의힘 의원의 절반이 넘는 58명이 '불체포특권 포기 대국민 서약'에 이름을 올리면서 가결 분위기를 잡고 있습니다. <br><br>Q. 이런 분위기라면 하영제 의원 본인 스스로 특권을 내려놓을 생각은 없을까요?<br> <br>그럴 생각은 전혀 없어 보입니다. <br> <br>하 의원은 현재 국민의힘은 물론 민주당 의원들에게까지 문자와 전화를 돌리며 부결을 읍소하고 있다고 전해졌는데요.<br> <br>정말로 결백하다면 스스로 불체포특권을 내려놓고, 시비를 가리겠다는 책임있는 모습을 보여주면 어떨까요. (책임있는) <br><br>Q. 내일 결과가 궁금해지네요. 여랑야랑이었습니다.<br> <br>구성: 김민지 기자·김지영 작가 <br>연출·편집: 정새나PD, 박소윤PD, 정구윤AD <br>그래픽: 김재하 디자이너<br /><br /><br />김민지 기자 mj@ichannela.com